카테고리 없음

Deepfak 아니 Deepseek(딥시크)의 진솔한 솔직리뷰와 느낀점

Son Stephen 2025. 1. 28. 12:0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딥페이..아니 Deepseek의 사용후기에 관련된 솔직한 리뷰를 하려고 해요. 

 

그럼 한번 시작해볼까요? 

 

URL: https://www.deepseek.com/

 

딥시크의 탄생과정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Deepseek의 탄생과정 

 

DeepSeek은 중국의 헤지펀드 회사인 환팡퀀트(幻方量化) 소속 인공지능 연구 기업에서 개발되었습니다. 환팡퀀트는 퀀트 투자를 기반으로 하는 회사로, DeepSeek은 이 회사의 인공지능 연구를 통해 탄생한 오픈 소스 언어 모델 제품군입니다.

환팡퀀트는 DeepSeek을 통해 자체적인 인공지능 연구를 발전시키는 동시에, 개발된 모델들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여 전 세계 연구 커뮤니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DeepSeek의 주요 특징:

오픈 소스: DeepSeek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모델입니다.

 

높은 성능: DeepSeek 모델들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대형 언어 모델들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 활용 가능성: DeepSeek은 자연어 처리, 코드 생성,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Deepseek 이용방법

 

2-1 Deepseek 사이트 접속 

URL은 https://www.deepseek.com/  

 

그럼 뜨는 화면이 이렇게 뜨실텐데요. 

 

그럼 왼쪽에 있는 Start Now를 클릭합니다. 


2.  Deepseek 회원가입하기 

Start Now를 클릭하시면 계정에 로그인하셔야하는데 계정이 없으시면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도 가능합니다. 

 

그럼 저는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해보도록 할게요. 

구글로 로그인하면 이런 화면이 뜰거에요. 

 

3. Deepseek 활용법 

 

검색창 하단에 Deep think 와 Search라는 두 개의 아이콘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

 

 

Deep think좀 더 상세한 답변을 원하실 때 클릭을 하시면 되고 Search답변의 출처를 따오고 싶을 때 활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해외(말레이시아)에 살아서 영어를 써야될 때가 많은데 문득 갑자기 막힐 때가 있는데 그 때 네이버 영어사전도 뒤져서 봐야하지만 본인이 원하는 구절이 검색해도 안나올 때 있잖아요. 그러면 Deepseek나 AI기반 검색엔진을 활용해야 할 때가 많은데 

 

한번 그럼 그런 의미에서 Deepseek를 활용한번 해볼까요? 

 

제 질문은 "눈치 살펴" 혹은 눈치가 없다. 를 영어로 여러가지 상황에서 어떻게 말할 것인가? 였는데. 이렇게까지 상세하게 알려주더라구요. 

 

 

 

이렇게 여러가지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여러가지 답변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답변도 Chat GPT보다 확실히 길고 답변 내용도 더 상세히 알 수가 있어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리고 PDF공용문서를 첨부해서 여러분이 물어보고 싶은 질문들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저는 주식에 관심이 많아서 가끔씩 재무재표를 영어로 해석해서 봐야할 때가 많아서 시간이 번역하고 이해해야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한데 Deep Seek과 함께라면 시간을 많이 할애할 필요가 없어지는 거 같아요. 

 

KDCR 2H and FY2024 Unaudited Results.ashx

 

텍스트만 긁어왔을 뿐인데 이렇게 표도 제대로 정리가 되어있고 회계분석도 해줍니다. 

 

이렇게 종합평가까지 자세하게...  Chat GPT도 정말 긴장을 많이 해야할 거 같아요. 그리고 운용보수로 고작 600만달러미만  즉 78억 8000만원밖에 안 썼다는게 더 소름이네요... 그럼 고가의 엔비디아 칩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아무리 중국이라지만 우리가 배워야할 건 배워야 할 거 같아요. 더 이상의 척화파 혹은 제 2의 인조가 우리나라에서 탄생하지 않기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