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레이시아 생활

쿠알라룸푸르 생활기록 [영국 성공회 St. Mary Cathedral에 예배를 드리러 가다]

by Son Stephen 2025. 1.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 저는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영국성공회 성당을 다녀와서 예배를 드렸는데요. 근데 천주교인 제가 성공회 성당에서 미사를 보다니? 의외라는 반응일 건데요. 성공회 성당을 찾은 이유는 저희 직장에서 제일 가깝고 (지하철 두 정거장 거리) 성공회 교단의 예배순서가 천주교와 많이 닮았다라는 점 으로 인해서 성공회 성당을 찾게 되었는데요. 그리고 2025년에는 좀 더 신앙심을 가지자가 제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오늘 간 성공회 성당은 St. Mary Cathedral인데요. 로컬성당입니다. 

제가 한인성당 혹은 한인교회를 안찾는 이유는 한국의 종교가 너무 정치화가 많이 되어서 종교안에서까지 정치색에 물들까봐 그걸 피하고 싶어서 일부러 한인성당 혹은 한인교회를 찾아서 가고 싶지는 않더라구요. 

성공회 성당의 겉모습 

 


St.Mary cathedral은 130년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아마 쿠알라룸푸르와 말레이시아를 통틀어서 가장 오래된 성당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130년된 역사 치곤 건물이 아담하지 않나요? 

그럼 내부를 한번 보겠습니다. 



천주교의 경우 제단에다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힌 조각상을 붙여놓는데 성공회는 그런 게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성찬예식도 정말 비슷했는데요. 그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보려합니다. 


천주교 vs 영국성공회 

 

1. 예배의 구조

 

- 공통점

모두 전통적으로 4개의 주요 부분으로 나뉩니다: 말씀의 전례(성경 읽기, 설교)와 성찬의 전례(성찬례 또는 성체성사).
성경 봉독, 신앙고백, 기도, 찬송, 성찬례 등 주요 요소가 포함됩니다.

- 차이점

가톨릭: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는 엄격하게 규정된 전례 형식(라틴어 미사 전례, 또는 현재는 주로 모국어)과 사제 중심의 의식이 강조됩니다.

 

성공회: 예배 형식은 《공동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에 따라 이루어지며, 더 간소화된 방식과 신자의 참여를 강조합니다. 성공회는 다양한 의식 수준(고교회파, 저교회파)에 따라 미사 형식이 다소 변할 수 있습니다.

 

2. 성경 읽기

 

가톨릭: 3년 주기 성경 독서 계획에 따라 주일 미사에서 구약, 시편, 신약, 복음서를 읽습니다.

 

성공회: 성공회도 3년 주기 성경 독서를 따르지만, 《공동기도서》에서 정한 선택지가 다양하며 지역 교회에 따라 약간의 자유가 있습니다.

 

3. 성찬례

 

가톨릭: 빵과 포도주의 실체변화(Transubstantiation)를 믿으며, 성체성사가 미사 의식의 핵심입니다.

 

성공회: 성찬의 신학적 해석이 다양합니다. 일부는 가톨릭과 유사하게 실체변화를 받아들이지만, 일부는 기념적 성격(Memorialism)을 강조합니다.

 

4. 사제와 신자의 역할

 

가톨릭: 사제가 미사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며, 신자들은 응답과 찬송, 기도를 통해 참여합니다.

 

성공회: 신자의 적극적 참여를 더 강조하며, 평신도도 성경 봉독, 기도 인도 등에서 더 많은 역할을 맡을 수 있습니다.

 

5. 예배 언어

 

가톨릭: 라틴어 미사가 보편적이었으나, 현재는 모국어 미사가 주류입니다.

 

성공회: 항상 예배의 모국어 사용을 기본으로 합니다.

 

6. 특별 기도와 상징

 

가톨릭: 성모 마리아와 성인에 대한 기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묵주나 성수 등 다양한 상징물이 사용됩니다.

 

성공회: 성모 마리아와 성인에 대한 공경은 일부 고교회파에서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는 강조되지 않습니다.

 

요약 

 

영국성공회와 가톨릭의 예배는 역사적으로 공통된 뿌리(초기 기독교 전례)를 가지고 있지만, 영국 성공회는 종교개혁 이후 좀 더 간소화되고 참여 중심으로 변화했습니다. 반면 가톨릭은 전통적인 의식과 신학적 깊이를 더 강조합니다.     

반응형

댓글